경제 & 자본주의6 [국가별 ROE/PBR 비교] 한국 주식이 저평가되어 있는 이유 (feat. ESG) 뉴스나 유튜브 영상들을 보면 한국 주식이 저평가되어있고 소위 '코리아 디스카운트'라고 불리는 일들을 많이 보게됩니다. 그렇다면 왜 한국주식시장은 이렇게 저평가되어 있을까? 그 궁금점을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가별 ROE 와 PBR을 비교 ROE는 자기자본이익률로 ROE가 높으면 기업이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PBR이 높으면 자본 한 단위당 시장에서의 프리미엄을 의미합니다. 대체로 ROE와 PBR은 비례합니다.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기업이 시장에서 프리미엄을 더 많이 부여하는 행위는 어쩌면 당연한 이유입니다. ▼▼▼ROE, PBR 공부하러 가기 ▼▼▼ 2023.06.11 - [금융 & 주식] - [재무제표] PER, PBR, BPS, EPS, ROE 에 대해서 알아보자 2023.3.. 2023. 6. 14. 평촌 산본 리모델링 & 재건축 진행과 생각 정리 안녕하세요. 평촌&산본의 리모델링 추진 현황 관련 포스트를 보고 개인적인 생각을 간단하게 메모하려고 합니다. 1기 신도시인 평촌과 산본은 용적률이 높아 재건축보다는 리모델링 사업이 활황이었는데요. 최근 1기 신도시 특별법 발표 이후 재건축이냐 리모델링이냐 조합원 사이에서도 이견이 갈리고 있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1기 신도시의 용적률이 상당히 되는 점, 강동 올림픽파크 포레온의 사례를 보듯이 조합원 숫자가 많습니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가듯이 다양한 의견을 모아 성공적인 재건축&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닌 듯합니다. 기존 아파트 멸실 및 이주로 인한 전세수요 상승 압력 가능성 저는 사실 재건축이 성공적으로 될 거냐 말 거냐를 논하는 게 아니라, 재건축이든 리모델링이든 사업이 .. 2023. 3. 19. OECD 의 세계 각국 실질 GDP 성장률 전망 공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OECD에서 세계 주요나라의 GDP를 공개했는데요. 한국의 예상 성장률은 세계 몇위에 위치하고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보시는 것처럼 현재 OECD에서 예상중인 세계 GDP 성장률은 2023년 2.6%, 2024년 2.9%로 예상중입니다. 인플레이션도 이정도로 유지되면 참 좋을텐데 말이죠... 2023년 한국의 성장률은 1.6%로 세계 경제성장률을 하회하고 있습니다. 2024년의 경우 2.3%로 소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네요. OECD의 GDP 전망을 보면 인구가 많은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가 여전히 강세임을 알 수 있습니다. 최근 한국의 경상수지도 적자로 전환하고 지속되고 있는데, 부디 빠른 시기안으로 회복했으면 좋겠네요. 2023. 3. 18. 자산과 부채의 차이를 안다는 것 - 돈의 노예가 되지 않는 길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산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드물 것입니다. 자산에 대해 네이버 사전에 검색해보면, 자산 개인이나 법인이 소유하고 있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유형ㆍ무형의 재산 소유하고 있는 경제적 가지차 있는 유무형의 것들을 의미합니다. 즉, 경제적 가치가 있는 것이라면 자산이라고 말하고 있죠. 저도 이전에는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로버트 기요사키의 "부자아빠 가난한아빠"를 읽고 나서는 완전 다른 관점으로 바라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부자아빠 가난한아빠 책을 읽어보면, 현금 흐름(Cash Flow)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부의 시작은 바로 현금 흐름에 있다고 말하면서 말이죠. 현금 흐름을 중심으로 생각하는 마인드가 있어야 부자의 길로 갈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즉, 자신.. 2020. 4. 1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