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3

주식투자의 시작 - 투자 시작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주식 투자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건 2019년 말이었다. 2011년도에 잠깐 소액으로 했던 적이 있지만, 2년 동안 투자(?)를 하며 고작 3%의 수익률을 올렸으니, 그냥 예금에 넣어놨어도 비슷한 수익률이었을지 모르겠다. 주식을 처음 시작하며 했던 생각은 단순했다. 당시에 '아이온'이라는 게임에 푹 빠져있었는데, 아이온을 서비스하던 NC소프트에 관심이 갔다. 내가 즐기는 게임이고 재미있으니 당연히 매출은 잘 나올 것이며, 앞으로 출시하는 게임도 승승장구할 것이라 믿었다. 하지만 나의 첫 주식투자는 게임의 흥미를 잃어감과 함께 마무리되었다. 많은 독자들이 이 처럼 자기가 사용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통해서 그 회사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주식까지 매수하는 경우는 흔히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처음 주식을 시작하.. 2023. 7. 2.
[국가별 ROE/PBR 비교] 한국 주식이 저평가되어 있는 이유 (feat. ESG) 뉴스나 유튜브 영상들을 보면 한국 주식이 저평가되어있고 소위 '코리아 디스카운트'라고 불리는 일들을 많이 보게됩니다. 그렇다면 왜 한국주식시장은 이렇게 저평가되어 있을까? 그 궁금점을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가별 ROE 와 PBR을 비교 ROE는 자기자본이익률로 ROE가 높으면 기업이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PBR이 높으면 자본 한 단위당 시장에서의 프리미엄을 의미합니다. 대체로 ROE와 PBR은 비례합니다.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기업이 시장에서 프리미엄을 더 많이 부여하는 행위는 어쩌면 당연한 이유입니다. ▼▼▼ROE, PBR 공부하러 가기 ▼▼▼ 2023.06.11 - [금융 & 주식] - [재무제표] PER, PBR, BPS, EPS, ROE 에 대해서 알아보자 2023.3.. 2023. 6. 14.
[재무제표] PER, PBR, BPS, EPS, ROE 에 대해서 알아보자 재테크하면 주식, 주식하면 재무제표 분석이 기본인 시대입니다. 사람은 이력서나 자기소개서를 보고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있다면, 기업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제무재표 분석이 필요합니다. 자 그럼 이제 기본지표에 대해서 공부를 시작해볼까요? 그렇다면 왜? 재무제표를 봐야 할까요? 우선 기업은 분기별로 재무제표와 현금흐름표 등을 공시하게 되어 있기에 해당 기업의 발자취인 역사가 묻어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재무제표를 잘 확인하면 해당 기업의 의도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보통 지표는 실시간으로 반영하기 어렵습니다. 기업의 공시는 분기별로 이뤄지기도 하고 분기별 실적 발표도 해당분기가 마무리되고 일정 기간 시차를 두고 발표가 되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투자의 참고지표로 활용하시되, 과거 이력을 보며.. 2023. 6.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