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ROE/PBR 비교] 한국 주식이 저평가되어 있는 이유 (feat. ESG)
뉴스나 유튜브 영상들을 보면 한국 주식이 저평가되어있고 소위 '코리아 디스카운트'라고 불리는 일들을 많이 보게됩니다.
그렇다면 왜 한국주식시장은 이렇게 저평가되어 있을까? 그 궁금점을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가별 ROE 와 PBR을 비교
ROE는 자기자본이익률로 ROE가 높으면 기업이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PBR이 높으면 자본 한 단위당 시장에서의 프리미엄을 의미합니다. 대체로 ROE와 PBR은 비례합니다.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기업이 시장에서 프리미엄을 더 많이 부여하는 행위는 어쩌면 당연한 이유입니다.
▼▼▼ROE, PBR 공부하러 가기 ▼▼▼
2023.06.11 - [금융 & 주식] - [재무제표] PER, PBR, BPS, EPS, ROE 에 대해서 알아보자
2023.3월 기준 한국의 위치를 보면 ROE가 대략 7%, PBR은 0.6정도 입니다. 한국의 ROE는 세계 평균인 약 14%에도 못 미치고 있습니다. 심지어 신흥국 평균인 약 13%에도 한참을 못 미칩니다.
PBR은 주가순자산비율로 현재 주가를 청산가치와 비교해 볼 수 있는 지표로 현재 한국은 시장에서 청산가치도 평가받지 못하는 자산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심지어 2021.11월과 비교해도 한국의 자본효율성은 후퇴하였습니다.
한국 기업은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처럼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기에 한국 주식시장은 저평가를 받고 있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르는 일입니다.
ESG 경영
ESG 경영이란 '기업 경영의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핵심 요소로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의미합니다.
한국의 저평가 이유는 ESG경영 중 '지배구조'에서도 찾아볼 수 있을 듯 합니다.
최근에 고객들의 돈을 관리하며 대부업을 하는 은행에서조차 횡령 사건이 심심치 않게 발생하는데요. 이는 기업 내에서 보안 활동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음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또 다른 사례로는 정치인과 뇌물을 주고 받는 사건도 흔하게 뉴스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재벌경영체제인 대부분의 대기업의 경우 승계작업을 하면서 개인주주의 이익에 반하는 일들은 너무 지겨워서 더이상 언급은 하지 않겠습니다.
언제쯤 한국에서도 제대로된 ESG 경영을 볼 수 있게 될까요?
[제무제표 분석] 이익률을 무조건적으로 믿어서는 안된다? - 이익률의 함정
이번 시간에는 재무제표를 볼 때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고 있는 이익률. 즉, '영업이익률'에 대하여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요즘 읽고 있는 책인 '거인의
secondvoyage.tistory.com
배당주, 배당락일, 배당주에 투자 시 알아야하는 3가지
배당주에 투자할 경우에 알아야할 3가지입니다. 1. 배당주는 무엇인가? 2. 배당을 받으려면 언제까지 사야하는가? 3. 1년에 배당을 몇 번 하는가? 1. 배당주는 무엇인가? 먼저 배당주에 대해서 알아
secondvoyag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