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 주식

[Ep.00] ETF란 무엇일까? 기본 개념 및 기초

by Secondvoyage 2023. 3. 26.

출처 : pixabay

안녕하세요. 이미 많은 분들이 ETF는 기본적으로 알고 계시리라고 생각합니다.

이번에는 ETF에 대하여 초심자의 입장에서 기본 개념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본 글은 매수, 매도에 대한 추천이 아니며,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ETF란?

ETF(Exchanged Traded Fund)는 줄임말 그대로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는 펀드를 말합니다.

투자계의 대부인 워런 버핏 또한 "초보자의 경우에는 인덱스펀드에 분할 투자하라."고 조언한다.

개인의 경우에는 한 종목에 대하여 기준을 세우는 것이 어렵기에 테마, 시장 인덱스를 추종하는 ETF를 사는 것이 개별주를 투자했을 때의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어 많은 투자의 대가들이 추천하고 있는 방식이기도 합니다.

 

 ETF의 장점

1. 다양한 테마와 상품

 ETF는 최근 트렌드인 전기차, 배터리, 모빌리티 등 다양한 테마를 자산으로 구성한 다양한 액티브 펀드에 투자할 수 있고,

시장 인덱스를 추종하도록 만든 패시브 펀드에 투자하기 용이합니다.

2. 소자본 투자 가능

 개별 주식으로 투자할 경우 종목별로 매수를 해야하는 등 원하는 비율대로 각각 분산하여 운영해야 하지만, ETF는 이를 자동으로 운영해 주고 소자본 가격으로 투자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 환금성이 좋다

 펀드의 경우 8영업일 이라는 긴 환매일이 필요지만, ETF의 경우 주식과 동일하게 매도 후 2일 뒤 출금이 가능하다.

 

 

ETF의 단점

1. 원금 손실 가능성

 ETF도 주식과 동일하게 손실을 볼 수 있다는 점은 여느 다른 투자와 동일하다.

2. 가격 괴리율 가능성

 가격괴리 위험은 ETF의 순자산가치와 다른 가격으로 사거나 팔 수 있는 위험을 말하는데, 이렇게 되면 적정 가격보다 높거나 낮은 가격에 호가를 제시하는데 이를 '스프레드'라고 한다.

3. 추적오차율 발생 가능성

 ETF는 지수를 추종하도록 운용을 하지만 지수와 순자산가치의 수익률 차이를 보이는 것을 추적오차율이라고 하며, 추적오차율이 낮은 운용사를 선택해야 한다.

 

 

ETF 종목 이름을 분석해 보자

2023-03-26 기준 미래에셋

TIGER는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상품으로 미국 S&P 500 지수 수익률을 추종하는 투자이다.

 

운용사별 ETF 브랜드명
국내 해외
ETF 브랜드명 운용사 ETF 브랜드명 운용사
KODEX 삼성자산운용 iShares 블랙록
TIGER 미래에셋자산운용 Vanguard 뱅가드
KBSTAR KB자산운용 SPDR 스테이트스트리트
ARIRANG 한화자산운용 Invesco 인베스코
KINDEX 한국투자신탁운용 Schwab 찰스슈왑
KOSEF 키움투자자산운용 WisdomTree 위즈덤트리
HANARO NH-Amundi자산운용 ProShares 프로쉐어즈
SMART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 Direxion 디렉시온

 

이상 기본개념 및 기초를 알아보았고 다음에는 대표 종목별 ETF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