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노후자금을 어떻게 모으지라는 고민을 하는 사회생활 새내기와 퇴직을 앞둔 분들을 위해
공적연금(국민연금, 사학연금 등) 과 사적연금(개인연금, 연금저축펀드) 에 대해서 알아보고 절세꿀Tip을 알아보겠습니다.
연금에도 세금이 붙는다는 사실
1. 국민연금뿐 아니라 모든 연금은 수령 시 세금이 붙습니다.
우리가 국민연금을 받으면서 별로 신경 안쓰고 있었던 이유는 연금을 지급할 경우 소득세를 원천공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국민연금 외 다른 개인연금이 없다면 세금의 양은 미미하기 때문에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습니다.
2. 개인연금은 연 1,200만원 한도로 분리과세가 가능합니다.
개인연금 수령액이 연 1,200만원을 초과하면 종합소득 합산과세 신고를 해야합니다. 이 경우 개인의 다른 소득을 모두 합쳐서 과세하기 때문에 과다한 세금을 내게 될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 1,200 만원을 넘지 않도록 수령액을 잘 조절하는 것도 절세 Tip일 수 있겠습니다.
[퇴직연금] 2023 IRP 달라진 점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국민연금이 고갈된다니 마니 다양한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어 사적연금을 준비하는 관심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오늘은 IRP의 정의 부터 기본적인 내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IRP
secondvoyage.tistory.com
'금융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 PER, PBR, BPS, EPS, ROE 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3.06.11 |
---|---|
[재무제표 분석] 이익률을 무조건적으로 믿어서는 안된다? - 이익률의 함정 (2) | 2023.06.06 |
[퇴직연금] 2023 IRP 달라진 점 알아보기 (0) | 2023.04.05 |
[Ep.00] ETF란 무엇일까? 기본 개념 및 기초 (0) | 2023.03.26 |
테슬라 연례 주주총회의 이름 "사이버 라운드업"을 상표출원 (0) | 2022.07.27 |